2021년 9월 2일 주꾸미 낚시

카테고리 없음 2021. 9. 3. 10:40
728x90

올해 주꾸미 첫출조.


주꾸미 탕탕

무창포 백조기 낚시

728x90

1년에 딱 한번 정도 가면 알맞은 백조기 낚시.
3물에 날씨 맑고 파도도 없는 장판 바다 예보여서 급히 하루 전 결정 다녀 왔다.

바람 없는 바다에서 뙤약볕 아래 무척 힘들다.

큰 씨알이 좀 드물어 아쉬웠지만 간간히 나와 약 70 마리 잡은것 같다.

새로 고안된 비늘 벗기기 망태기에 넣어서 깔끔하게 비늘 제거.

미리 피도 빼고 해서 깔끔하게 얼음에 채워서 잘 가져왔다 그러나 집에 오니 비린내가 진동.

낚시대 씻고 릴 도 세척하고 뒷마무리..


앞에 빨간 아이스 박스.. 많이 잡은 사람은 150 마리 정도.

어째든 1년간의 조기 매운탕과 조기찜 재료 확보.


같이 출조한 현진님 솜씨. 백조기 회덥밥

백조기 매운탕.


백조기 찜

조기구이와 다를바 없다.

수조 안에서 피를 천천히 빼고 자연친화적으로 비늘을 벗겨 가져오면 다양하게 요리 해 먹을 수 있어 좋다.

play back 전용 b77 만들기

Audio recording 2021. 7. 30. 14:16
728x90

60년대 이후 상용으로 나온 판매용 릴 테이프는 2 트랙 7 1/2 IPS 된 것과 4 트랙 71/2 IPS 또는  3 3/4 ips 속도의 3 가지 종류가 있다. 이들 테이프는 70년대 말까지는 매우 다양하게 나왔으며 이베이 등에서 그리 비싸지 않은 가격에 구할 수 있다.  이런 상용 테이프 들을 모두 재생함과 동시에 90년대 부터 라이브 녹음으로 많이 해서 보관 중인 2 트랙 7 1/2 IPS 테이프를 모두 재생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몇 달전 이베이에서 모터와 뼈대만 남은 B77이 보여 구매 하였다.  이 기기에 각종 보드와 캡스턴 모터를 달아 재생 전용 기기로 만들어 보았다.  재생 전용이기 때문에 레코딩 헤드와 보드 부분 등을 제거 하고 2 트랙과 4 트랙 재생 헤드를 달았다.

위에 똑딱이 절환 스위치를 달아 2트랙 테이프와 4 트랙 테이프 모두 사용 할 수 있게 하였다.

오실로스코프와 전용 캘리브레이션 테이프로 Azimuth 조정완료하여 현재 만족스럽게 동작하낟. .

이로써 ebay에서 구한 모든 상용 테이프를 재생 가능 하게 되었다.

완성된 재생전용 B-77. 녹음 기능은 전부 없고 최상의 음질을 위해 불필요한 스위치는 생략하고 직결했다. 

 

이베이에서 구한 도이치 그라마폰 클래식 릴 테이프 .

2 트랙 및 4 트랙 재생 헤드. 위에 선택 용 똑딱이 스위치

뒷면에는 헤드 출력을 바로 외장형 테이프 헤드 앰프로 밸런스 단자를 통해 출력도 가능 하다.
셀렉터 스위치로 내장 보드 또는 외장 헤드 앰프 중 하나를 선택 가능

헤드 블럭과 헤드

이베이에서 구한 반쯤 남은 기기를 저렴한 가격에 구하여 만들었다.

 

4 트랙 7 1/2 ips 클래식 tape

4 트랙 테이프. 7 1/2 ips 경음악

2 트랙 테이프. 7 1/2 ips. 구하기가 어렵고 값도 바싸다.

Revox B 710 cassette deck Restoration/rebuild

Audio recording 2021. 7. 25. 16:27
728x90

revox B215의 전 모델인 B710에 대한 복원및 개조 작업을 해 보았다. 

B710은 릴 데크인 B77과 외형적인 모습이 많이 비슷하다. 스위치도 같은 것을 사용하고 있고 부품의 구성및 사용 메이커도 거의 동일하다. 

문제가 많은 Farko와 Phillips사제 전해 콘덴서를 사용하고 있고 노출형 반고정 저항을 사용해서 저항값이 정확하게 유지 되지 않고 흔들리면 일부는 부식이 되어 전혀 저항 값이 다르게 나온다는 문제가 있다. 

이들 리복스 기기는 특히 기판이 좋지 않다. 고주파 성능이 떨어지는 베이클라이트 기판을 사용한데다 회로 동박면이 매우 얇아 잘못하면 일어나거나 단선 되기가 아주 쉬워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전해 콘덴서와 반고정 저항은 전량 교체 하였다. 

 당시의 다른 메이커도 비슷하지만 오디오 신호가 흐르는 부분의 커플링 콘덴서도 일반 전해 콘덴서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회로 개조 전에 회로도를 미리 세밀히 검토하여 각 전해 콘덴서의 역활과 오디오 신호 경로에 있는지 또는 그 기능이 전원 관련인지 아니면 트랜지스터 바이어스 전압 유지용 인지 등의 검토를 한 후 여기에 가장 적절한 콘덴서로 교체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번 작업에는 Wima Film 콘덴서와 일본 니치콘사의 오디오용 무극성 Muse 콘덴서 와 일반 오디오용 전원부 콘덴서 그리고 국산 삼영 콘덴서를 적재 적소에 용도에 따라 맞게 사용하였다.

 

또한 반고정 저항도  Bourns사나 Amphenol사의 정밀 반고정 밀폐형을 사용하였다.

개조 전의 모습 . 전원부와 메커니즘 제어 회로부

 

개조 전의 모습 . 오디오 회로부 . 노출형 반고정 저항이 다량으로 사용되고 있음이 보인다.. 하늘색의 전해 콘덴서는 필립스사 제품으로 내구성에 다소 문제가 많다고 알려 지고 있다.
개조전 전원부 
개조후 전원부 . 용량과 전압을 한단계씩 증강하였다. 
개조 후의 오디오 회로부 

 

개조 후의 전원및 메커니즘 제어 회로부 

 

개조 후의 내부 전체 모습

 

 

메커니즘 부 오버 홀.  모터를 완전 분해하여 세척, 윤활유 주입 등을 하였다.

 

 토크 미터 등의 데스트 테이프를 통한 재생 및 녹음단의 캘리브레이션

녹음 주파수 특성표. 거의 19Khz까지 평탄한 특성을 보여준다.

 

Wow & Flutter 특성도 평균 0.039로 우수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