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ai GX 646 reel deck 수리 및 캘리브레이션

audio 와 Home theater 2024. 12. 26. 17:02
728x90

강서구 가양동에서 온 아카이 GX 646 4 트랙 릴 테이프 데크로  캡스턴 모터가 돌지 않아 재생 및 녹음이 되지 않는다고 수리 의뢰가 들어 왔다.

다른 아카이 기기의 수리 및 업 그레이드, 캘리브레이션 작업은 해 보았으나 이 모델은 처음이어서 서비스 매뉴얼을 구할 수 있으면 해 보겠다고 한 다음 인터넷에서 검색하여 찾아 내었다. 그러나 서비스 매뉴얼이 좀 단순하다.


다행히 이 646 모델의 후속기인 GX 747 모델의 자세한 서비스 매뉴얼은 이미 갖고 있어 두개의 매뉴얼을 비교 해 가면서 진행 하면 될 것 같아 기기를 보내 달라고 하였다. 


 다마스 용달을 통해 받은 기기 . 역시 한 덩치 하고 무게도 무겁다.

내면을 뜯어 열어 보니 이미 한번 수리한 흔적이 있다. 

특히 기판이 온통 WD40을 뿌려 놓은 흔적이 보이고 중간 중간 수리로 인해 다른 부품으로 교체 된 흔적이 보인다.
 
 

중간에 있는 것이 캡스턴 모터로 전자 제어 방식으로 직접 캡스턴을 돌려 준다.

 

오디오 회로 보드로 대부분 원래의 부품이 그대로 꼽혀 있다.

 

아카이 모델의 후기형의 대부분이 파워 트랜지스터로 캡스턴 모터가 제어 되는데 열이 무척 많이 난다.

밑의 사진과 같이 철판 하나에 의해 방열을 하고 있는데 이 하나로 충분한 방열이 되지 못한 듯 하다. 

문제의 파워 트랜지스터도 원래의 2SC2236B가 아닌 다른 것이 사용 되고 있었는데 이 것이 사망하였다. 
 

보다 큰 정격의 TIP50 파워 트랜지스터로 교체 하고 방열판이 붙이기 좋은 위치로 이동 한 다음 여러장의 방열판을 달아  안정적인 열방출이 되도록 하였다. 

녹음시 좌우 밸런스 등의 문제가 있다고 하여 전체적인 캘리브레션 작업을 하였다.  646 기기는 순방향 및 역방향으로 모두 재생및 녹음을 위해 6개의 헤드를 갖고 있어 작업 시간이 훨씬 더 걸리고 복잡하다. 

캘리브레이션 전에 헤드 들에 대한 Demagntizing을 하고 헤드를 알콜과 면봉으로 청소한 다음 오디오 신호 발생기와 레퍼런스 테이프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작업을 하였다. 
캘리브레이션 후 재생은 순방향 및 역방향 잘 되나 녹음의 경우 순방향은  녹음 레벨을 최대로 올려도 LPR35 테이프 기준 녹음 후 출력이 입력 되는 레벨 보다 약간 작게 나온다.  ( 이 경우 VU 레벨 미터를 입력  신호를 모니터 하지 말고 녹음 후 출력되는 신호를 보면서 녹음 하면 된다. ) 
역방향의 경우 레벨은 입력과 동일 하게 녹음 되는데 한쪽 채널의  고역대 주파수가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이를 교정할려고 보니 반고정 저항 대신 가변 커패시터가 사용되었는데 이 부품을 대체 할 만한 것을 구하기가 어려워 포기 하고 녹음은 순방향으로만 할 것을 권하고 모든 작업을 마쳤다.
 
 

FET tape Head amp 업 그레이드

Audio recording 2024. 12. 15. 15:16
728x90

Kaneda type DC amp with FET linear regulator.

All discrete class A amplication.

2SK240 dual FET ,2sc 1775 transistor are used.

coupling capacitors are 1uF Auriecap film capacitor.

여유 시간을 이용하여 기존의 배터리 방식의 전원에서 Kuboda 식의 FET 정전압 전원 장치를 만들어 넣었고 다이오드는 Schottky Barrier diode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가존의 Wima  필름 콘덴서를 Aurie cap으로 교체하였다.

음질은 매우 청명하고  분해능이 최고이다.

고역대 주파수의 뻐침이 좋아 큰 개방감과 사운드 스테이지가 느껴진다.

배터리 방식의  전원은  분해능은 좋았지만은 저역에 힘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단점이었는데이 부분이 많이 개선되었다

지난번 완성한 12ax7 3알 구성의 진공관식 테이프 헤드 앰프와는 음질 경향이 많이 다르다.

현재 FET 트랜지스터 방식의 헤드 앰프는 릴 데크에 그리고 진공관식 헤드 앰프는 카세트 데크에 연결하여 듣고 있다.

분위기와 음악 장르 기분에 따라 이 두 헤드 앰프를 서로 바꿔 들어 보는 재미도 앞으로 있을 것 같다.

진공관식 Tape head amp 드디어 완성

audio 와 Home theater 2024. 12. 3. 13:12
728x90

릴 테이프 데크에 진공관식 헤드 앰프를 연결하면 어떤 소리가 날까?

스튜더 C37이란 진공관식 릴 데크의 음도 들어보고 90년대엔 리복스 G36 이란 진공관식 릴 데크도 오버홀하고 하이엔드 오디오용 부품으로 교체 하여 사용해 보았지만 15 ips 의 마스터 릴 테이프를 직접 진공관식 헤드 앰프에 재생해 보고자
여러 회로 검토를 거쳐 만들어졌습니다.

마란쯔 7 프리 앰프의 회로를 기본으로 하여 RIAA 대신 NAB와 CCIR EQ를 넣었고 이는 릴레이 회로를 통해 선택 되도록 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에서 많이 사용하는 NAB EQ와 함께 유럽에서 많이 사용하는 EQ 면서
최근에 고가이긴 하지만 왕성히 발매 되는 리퍼런스급 마스터 테이프 Copy 테이프가 거의 모두 15ips CCIR로 발매 되는데 맞추어서 재생 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테이프 헤드에서 나오는 출력이 대략 3 mV 정도여서 MM 카트릿지 출력 보다는 작고 MC 카트릿지 출력 보다는 좀 많이 높아서 처음에는 입력단에 승압 트랜스포머 없이 진공관 증폭단으로만 구성해서 만들어 사용했으나 프리 앰프의 볼륨을 많이 올려야 하고 그만큼 박력감이 없는 좀 산뜻하기만 한 소리가 나오기에 추가로 승압 트랜스포머를 붙였습니다. 룬달에서 나온 1 : 5 정도의 승압비를 가진 MC 트랜스포머가 적당하다고 생각 되었지만 집에 보유하고 있는 60년대 제조 Peerless 트랜스포머가 600 ohm:50K ohm이어 승압비가 1:9 정도 되었기 때문에 적당하고 생각되어 이를 사용했습니다.


실제 제작에 착수 한지는 1 년이 넘었지만 어제서야 완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몇 달 전 완성 시켜 들어 보니 중저역이 기가막히게 좋았지만 고역쪽 음이 터지지 않아 입력쪽에 사용한 트랜스포머의 고역 주파수 특성이 좀 떨어지나 보다 생각하고 궁리를 하다가 다른 바쁜 일에 밀려 손 놓고 있다가 최근 좀 한가해져서 다시 들여다 보게 되었습니다.

궁리 해 보니 테이프 트랜스포터로 쓴 Revox B77의 헤드의 임피던스와 커패시턴스 특성을 살펴 보니 그 간 사용했던 턴테이블용 RCA 케이블 대신 밸런스드 XLR 케이블로 바꾸어 보니 그간 아쉬웠던 고역 부분이 제대로 전달 되어 드디어 제대로 된 음을 내주기 시작했습니다.

리복스 릴 테이프 데크와 연결해서 청음.


이번에는 KENWOOD 880G 카세트 데크와 연결해서 테스트 아주 만족할 만한 음질이 나온다.

이 Kenwood  카세트 데크는 다이렉트 드라이브 모터애며  3 모터 방식이어서 특히 주행 성능이 아주 우수하다. 또한 테이프 헤드도 아몰포스 방식이어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준다 다만 3 헤드 방식이 아닌 투 헤드 방식인 것이 좀 아쉽긴 하다 .

헤드로부터 바로 출력을 끌어내서 XLR  케이블로 해서 테이프 프리에 앰프에 연결하였다.

 

카세트 데크에서 나오는 헤드 출력은 거의 MC 카트릿지 출력 수준이어서 입력 트랜스포머의 권선비가 1 :10 인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2 track, 15 ips 를 주로 사용하는 용도라면 1:5 정도의 권선비를 가진 것이 적당하다는 것을 알았다.

카세트 테이프의 EQ 시정수에 맞추기 위해 DIN 규격의 시정수를 선택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나 같은 경우에는 카세트 녹음에 Tandberg 3014A를 사용하여 크롬 테이프에 Dolby 잡음 감소 회로를 사용치 않고 녹음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시정수도 Chrome 70uS 에 맞게 선택하였다.



정리를 마친 오디오 시스템 전체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