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리스트
2023/05/04에 해당되는 글 1건
- 2023.05.04 Revox B77 릴 테이프 데크 Calibration 작업 결과 2
글
Revox B77 릴 테이프 데크 Calibration 작업 결과
경주에서 기기를 싣고 오심.
Ebay를 통해 이태리에서 구입 하신 기기를 내 블로그 등을 참조 하여 직접 Re-Capping 하셨다고 함.
전반적으로 외관및 내부 상태가 매우 우수 하다. /도한 우드 케이스를 원목으로 직접 짜서 사용하시고 있었다.
![](https://blog.kakaocdn.net/dn/NkQy2/btsdYgJPJx4/O023hjDujvxwuNy76r6oR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cWoVb3/btsdXO7Zu13/gLyzXRdPsBkz13LbI4FNt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bnpxfj/btsdY3woFJm/6XmeadKzKy0AisFrhGoRy0/img.jpg)
모든 기판도 니치콘 오디오용 콘덴서와 Wima 필름 콘덴서 및 밀폐형 반고정 저항 등으로 완벽하게 교체 되어 있었다.
![](https://blog.kakaocdn.net/dn/H8lOS/btsdZJjM0b0/2GXKvov6KEGIzrCunAhOV1/img.jpg)
의뢰 한 것은 재생및 녹음 전반에 걸치 캘리브레이션과 아지무스 조정
![](https://blog.kakaocdn.net/dn/PR1iG/btsdXJFBeaU/Uu6iE38yi8KFn8sm2YK2zk/img.jpg)
이번에 새로 구입한 15 ips, CCIR EQ의 MRL 테스트 테이프. 테스트 테이프는 제작된지 5년이 경과 하면 새것으로 교체 해야 한다. 기존의 것이 5년이 경과 되어 이번에 새로이 추가 구입
![](https://blog.kakaocdn.net/dn/caz9Tp/btsdZ4nydbx/oSr2bdxhe9WAqU2bFDV5y0/img.jpg)
![](https://blog.kakaocdn.net/dn/vA8dj/btsdY0fluiA/vdSBqQYe9iubpMkIWlg6vK/img.jpg)
2 현상 오실로스크프를 통해 재생및 녹음 헤드의 아지무스 조정.
![](https://blog.kakaocdn.net/dn/dXYTLJ/btsdZhgX1Hn/K48cFHxq1xA9Ugi1nA2sX1/img.jpg)
![](https://blog.kakaocdn.net/dn/9KnQe/btsd0nge87L/HvAcKj5sDwtabyvdi8vFAk/img.jpg)
![](https://blog.kakaocdn.net/dn/dtsPE2/btsdZMtX3Sc/4yhpnuwtEI5kXMc4Pw0rkK/img.jpg)
이번에 의뢰 받은 기기에 대해
1. 헤드 부분에 대한 De-Magetizing 작업
2. Input 보드에 대한 점검과 VU 미터 교정, Over-Clipping LED 보정
3. MRL 테스트 테이프를 통해 playback head의 아지무스 조정
4.. MRL 테스트 테이프를 통해 재생 레벨의 조정, 16 Hz에서 20 KHz에 이르는 전 주파수대역의 재생 주파수 특성 측정
- 측정 결과 1KKhz를 중심으로 고역과 저역에서 주파수 특성이 약간 높게 측정됨. PR99의 Repeoduce Board는 이를 반고정 저항을 통해 보정이 가능하나 B77의 경우 이런 기능이 없어 보정이 불가. 다소 고역이 밝은 느낌이 날 것임
5. 15와 7 1/2 ips의 각각의 속도에 대한 녹음 바이어스 양 조절- 녹음 기본 테이프로 RTM 사의 표준적인 테이프인 SM900 tape 를 기준으로 함.레코딩 레벨 조절, 각 속도에 대한 고역 ( 12Khz) 특성이 평탄하도록 반고정 저항 미세 조정.
6. 레코딩 헤드에 대한 아지무스 조정
캘리브레이션 과정을 통해 아지무스는 세밀 조정하는 것으로 끝날 수 있었지만 다른 부분에서는 기준 값과 많이 다르게 세팅 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러한 캘리브레이션 작업이 완료 되면 이 효과를 알 수 있는 것이 좋아하는 음악을 녹음해 보는 것이다.
각 속도에 있어 input과 tape 절환 스위치를 오가며 모니터링 할 때 음량 차이, VU 미터의 바늘 움직임 차이, 음색 차이 없이 어느 것이 입력되는 신호이고 어느 것이 녹음 된 신호 인지 구별이 가지 않을 정도가 되었다면 제대로 캘리브레이션이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용된 기기및 테스트 테이프는 2 현상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오디오 계측용 VTVM ( 밀리볼트 미터 ), Demagntizer, 오디오 신호 발생기, MRL 테스트 테이프 등
작업 시간 :90분, 작업 비용 12 만원,
며칠 후 동호인 카페에 올라 온 글 ^^
![](https://blog.kakaocdn.net/dn/Jg43n/btseNtGB0lF/cgnOECxllgwCFfDjjld4Zk/img.png)
'Audio record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er A80 master reel deck (2) | 2023.06.25 |
---|---|
테크닉스 RS 1700 릴 데크 개조 및 캘리브레이션 작업 6 (3) | 2023.05.12 |
Technics RS-1700 reel deck 수리/ 오버홀 5탄 (1) | 2023.03.04 |
Tandberg TD-20A SE 수리 실패기 (0) | 2023.02.17 |
궁극의 테이프 헤드 앰프 설계 중 (0) | 2023.01.31 |